장례식장은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며 유가족의 슬픔을 함께 나누는 자리예요. 따라서 단정한 복장과 조용한 태도는 기본이며, 예의와 금기사항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특히 무심코 한 행동이 실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오늘은 장례식장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들을 정리했어요.
목차
- 장례식장 기본 복장 예절
- 조문 순서 및 절하는 방법
- 장례식장에서 하면 안 되는 행동
- 조문 인사말 예시
- 결론: 진심 어린 예의가 최고의 조문이에요

1. 장례식장 기본 복장 예절
장례식장은 엄숙하고 경건한 분위기이기 때문에 색조화장과 화려한 액세서리는 피해야 해요. 기본적인 베이스 화장만 하고, 붉은색 립이나 볼터치 같은 색조는 삼가야 해요. 액세서리도 반짝이거나 금·은 장신구보다는 단정한 기본형이 좋아요.
| 구분 | 착용 가능 | 피해야 할 복장 |
|---|---|---|
| 남성 | 검은색 정장, 흰 셔츠, 검정 넥타이 | 짧은 바지, 무늬 셔츠, 컬러 타이 |
| 여성 | 어두운 정장 또는 검은색 치마, 단화 | 짧은 치마, 밝은 색 옷, 반짝이는 장신구 |
| 공통 | 검정 구두, 무늬 없는 양말 착용 | 슬리퍼, 샌들, 맨발, 강한 향수 |
💡 TIP: 옷차림뿐 아니라 표정도 중요해요. 웃거나 밝은 표정보다는 침착하고 진중한 태도를 유지해야 예의예요.

2. 조문 순서 및 절하는 방법
조문은 단순한 인사가 아닌, 고인에 대한 예의와 유가족에 대한 위로의 표현이에요.조문 시 기본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아요.
1️⃣ 도착 후 방명록 작성
정중하게 이름을 적고, 가능하면 한 줄로 간단히 작성해요.
2️⃣ 헌화 또는 분향하기
- 향을 피운 뒤 입으로 불지 말고 손으로 살짝 흔들어 끄기
- 헌화 시에는 꽃봉오리가 영정 쪽을 향하도록 올려요.
3️⃣ 절 올리기 (2번만)
- 고인에게는 두 번 절하고, 상주에게는 맞절해요.
- 여자는 왼손이 위,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서 절해야 해요.
4️⃣ 유가족에게 인사하기
- 조용히 목례하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정도로만 인사해요.
- 길게 말하지 않고, 슬픔을 함께 나누는 태도로 마무리해요.

3. 장례식장에서 하면 안 되는 행동
무심코 한 행동이 유가족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어요. 특히 아래 항목들은 실례가 되는 대표적인 금기사항이에요.
❌ 색조화장, 악세서리 착용 금지
화려한 색조나 붉은색 립은 피해야 해요. 기본 베이스만 하고 최대한 단정한 인상을 주는 게 좋아요.
❌ 부의금 짝수 금액 금지
부의금은 3, 5, 7, 10만 원 등 홀수 금액이 예의예요. 짝수는 ‘쪼개진다’는 의미가 있어 좋지 않아요. 또한 봉투는 조문 직후가 아닌 마지막에 조용히 내는 것이 예의예요.
❌ 향을 입으로 불기 금지
향에 불을 붙였을 때 입으로 불어 끄면 안 돼요. 오른손으로 향을 들고 왼손으로 받치며, 손으로 흔들어 끄는 게 올바른 방법이에요.
❌ 고인에게 절 2번 이상 하기
절은 두 번만 올리는 게 예의예요. 세 번 이상 절하는 것은 불교식 의례에서도 혼동을 줄 수 있어요.
❌ 큰 목소리 내기
지인을 불러 크게 인사하거나 웃는 행동은 절대 삼가야 해요. 장례식장은 조용하고 경건해야 하는 공간이에요.
❌ 건배나 잔 권하기
아무리 호상이라도 술잔을 부딪히거나 건배를 외치는 건 부적절해요. 식사 자리가 있더라도 조용히 대화하며 절제된 분위기를 유지해야 해요.
❌ “호상”이라는 단어 사용 금지
“호상”은 예전에는 좋은 뜻으로 썼지만, 요즘은 유가족에게 무례하게 들릴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해요.
❌ “안녕하세요” 인사 금지
장례식장에서 반가운 얼굴을 봤더라도 “안녕하세요”는 피해야 해요. 대신 “오랜만입니다” 혹은 “잘 지내셨나요”로 대체하는 게 예의예요.
❌ 사망 경위 묻기
고인의 사망 원인을 묻는 것은 가장 큰 실례예요. 유가족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절대 피하고, 대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정도로만 짧게 위로해요.

4. 조문 인사말 예시
조문 시에는 말을 아끼고 진심이 느껴지는 한마디면 충분해요.
예의 바른 인사말 예시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얼마나 마음이 아프실지 짐작도 안 됩니다.”
- “부디 마음을 추스르시길 바랍니다.”
-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피해야 할 표현
- “왜 돌아가셨어요?”
- “그래도 호상이라 다행이에요.”
- “이제 편히 쉬겠네요.”
| 구분 | 피해야 할 표현 | 대체 표현 |
| 고인의 죽음을 언급할 때 | “그래도 편히 가셔서 다행이에요.”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나이 관련 표현 | “연세가 많으셔서 호상이네요.” | “많이 슬프시죠. 마음 잘 추스르시길 바랍니다.” |
| 사망 원인 묻기 | “어쩌다 그렇게 되셨어요?” / “병이 오래되셨나요?” | “얼마나 마음이 아프실지요.” |
| 유가족 위로 시 | “그래도 이제 편해지셨겠죠.” | “힘든 시간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
| 고인을 평가하거나 추억할 때 | “예전엔 참 건강하셨는데…” / “그때 그렇게만 안 했어도…” | “늘 좋은 분으로 기억하겠습니다.” |
| 상황 위로 표현 | “그래도 자녀분이 있어서 다행이에요.” |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
| 가벼운 표현 | “그냥 인생이 다 그런 거죠.” / “시간이 약이에요.” | “마음이 많이 힘드실 텐데 조용히 애도드립니다.” |
| 일상적 인사 | “안녕하세요.” / “반가워요.” | “오랜만입니다.” / “잘 지내셨나요.” |
| 부적절한 칭찬 | “장례식이 깔끔하게 잘 치러졌네요.” | (말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음) |

결론: 진심이 담긴 예의가 최고의 조문이에요
장례식장은 형식보다 진심이 담긴 태도가 더 중요해요. 조문할 때는 불필요한 말보다 조용한 묵념과 예의 있는 행동이 고인을 향한 최고의 배려예요. 복장, 인사, 말투 하나하나가 유가족에게는 큰 위로가 될 수 있어요. 경건한 마음으로 고인을 추모하고, 예의 있는 조문객으로 기억되면 좋겠어요.
'생활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직장인이 가장 많이 선택한 재테크 TOP7 – 수익률 차이까지 공개 (0) | 2025.11.05 |
|---|---|
| 전문직 자격증 난이도, 연봉 및 취업 전망 비교 분석 2025 (0) | 2025.11.04 |
| 생활의 달인 <희토류 자석 달인> 서울 종로 위치정보 (0) | 2025.11.03 |
| sbs 생활의 달인 <티아라 달인> 파주 위치정보 (0) | 2025.11.03 |
| 2025 크리스마스 마켓 일정 총정리 – 한국부터 유럽까지 (0) | 202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