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6년 연봉 실수령액 총정리|연봉별 실제 수령액 변화 한눈에 보기

by Luck Bunny 2025. 10. 30.
반응형

2026년부터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요율이 인상되면서 연봉별 실수령액이 달라졌어요!연봉은 그대로인데 월급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이 줄었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이번 글에서는 2026년 연봉 실수령액 변화를 실제 표로 확인하면서 얼마나 달라졌는지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 서론
    • H2 2026년 연봉 실수령액 변화 개요
    • H2 연봉별 2026년 실수령액 비교표
    • H2 실수령액 계산 시 참고해야 할 점
    • 결론

    2026년 연봉 실수령액

    2026년 연봉 실수령액 변화 개요

    4대보험 요율 인상 반영

    2026년부터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등 4대보험 요율 인상이 적용되면서 전체 실수령액이 하락했어요.
    특히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이 모두 인상돼, 총 공제액이 약 2~3% 정도 늘어난 셈이에요.

    2025년 대비 실수령액 감소 이유

    2025년에는 4대보험 요율이 낮았기 때문에 세후 금액이 조금 더 높았어요.하지만 2026년엔 사회보장제도 재정 안정화를 위한 인상으로, 연봉 구간별로 월 3만~10만 원가량의 실수령 감소가 발생했어요.즉, 연봉이 올라도 실수령은 오히려 줄어드는 ‘명목 상승, 실질 하락’ 구조가 된 거예요.

    연봉별 2026년 실수령액 비교표

    2,500만 원~3,800만 원 구간

    연봉 2025 실수령액 2026 실수령액 차이
    2,500만 원 1,887,793원 1,856,863원 -30,930원
    2,600만 원 1,961,477원 1,929,277원 -32,200원
    2,800만 원 2,106,653원 2,070,243원 -36,410원
    3,000만 원 2,251,650원 2,218,210원 -33,440원
    3,800만 원 2,810,147원 2,762,497원 -47,650원

     

    👉 저소득 구간일수록 세금보다 보험료 인상 영향이 커요.

     

    4,000만 원~5,800만 원 구간

    연봉 2025 실수령액 2026 실수령액 차이
    4,000만 원 2,945,603원 2,894,093원 -51,510원
    4,400만 원 3,206,107원 3,149,367원 -56,740원
    5,000만 원 3,583,977원 3,523,237원 -60,740원
    5,400만 원 3,836,030원 3,774,140원 -61,890원
    5,800만 원 4,087,233원 4,023,013원 -64,220원

     

    👉 중간 소득층은 평균 5만~6만 원 정도의 실수령액이 줄었어요.

    6,000만 원~7,800만 원 구간

    연봉 2025 실수령액 2026 실수령액 차이
    6,000만 원 4,210,450원 4,145,720원 -64,730원
    6,800만 원 4,712,617원 4,645,877원 -66,740원
    7,000만 원 4,838,913원 4,771,683원 -67,230원
    7,600만 원 5,170,133원 5,082,343원 -87,790원
    7,800만 원 5,276,220원 5,194,100원 -82,120원

     

    👉 고소득 구간일수록 보험료율 누진 적용으로 실수령 감소폭이 더 커요.

     

    8,000만 원~9,800만 원 구간

    연봉 2025 실수령액 2026 실수령액 차이
    8,000만 원 5,391,647원 5,312,597원 -79,050원
    8,800만 원 5,860,963원 5,781,563원 -79,400원
    9,400만 원 6,211,693원 6,132,053원 -79,640원
    9,800만 원 6,443,867원 6,364,047원 -79,820원

     

    👉 연봉이 높을수록 공제액 증가율은 작지만, 절대 금액 기준으론 월 8만 원 안팎의 차이를 보였어요.

     

    실수령액 계산 시 참고해야 할 점

    국민연금·건강보험 인상 영향

    2026년에는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9.0%로, 건강보험료율은 7.2%로 각각 인상됐어요.특히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월급의 일정 비율이 자동 공제되기 때문에, 인상분은 그대로 실수령 감소로 이어져요.

    세금·공제 항목 확인 포인트

    • 근로소득세는 변동이 거의 없어요.
    •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 공제율이 높아졌어요.
    • 연말정산 때 일부 환급이 가능하지만, 월별 실수령은 줄어드는 구조예요.

    따라서 연봉협상 시에는 “세전 금액”이 아니라 세후 실수령액 기준으로 협의하는 게 중요해요.

     

    결론

    2026년 실수령액은 2025년 대비 전 구간에서 감소했어요.이는 국민연금·건강보험 요율 인상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에요.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사회보장 재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뜻이기도 해요.실제 급여 인상 폭이 체감되지 않더라도, 실수령액 기준으로 생활 예산을 세우는 것이 현명해요.앞으로 연봉이 인상될 때는 “세전 금액보다 세후 실수령 변화”를 꼭 확인하세요!